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재명 대통령 국정 수행 기대감 58.2%

by 시크한 훈이 2025. 6. 9.
반응형

 

📊 이재명 대통령 국정 수행 기대감 58.2% – 리얼미터(6/4~5)

2025년 6월 9일 공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해 58.2%가 '잘할 것'이라 응답했습니다. 반면 '잘하지 못할 것'은 35.5%, '잘 모르겠다'는 6.3%였습니다.

1. 긍정 전망의 의의와 과거 대통령 비교

리얼미터는 “긍정 전망 수치는 역대 대통령 직후보다 낮은 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대통령 긍정 전망
이명박 79.3%
문재인 74.8%
박근혜 64.4%
이재명 58.2%
윤석열 52.7%

이재명 대통령의 긍정 전망(58.2%)은 윤석열(52.7%)보다 5.5포인트 높지만, 역대 최고치였던 이명박(79.3%)에 비해선 21.1포인트 낮은 수치입니다.

2. 권역별 및 연령대별 긍정 전망

  • 광주·전라: 85.3% (전국 최고)
  • 대구·경북: 39.6% (전국 최저)
  • 수도권 – 서울 57.6%, 경기·인천 59.9%

특히 지역별로 큰 편차가 있는 양상이며, 광주·전라 지역에서는 매우 높은 지지, 대구·경북에서는 낮은 지지를 보였습니다. 

  • 20대: 41.3%
  • 30대: 57.1%
  • 40대: 76.6%
  • 50대: 70.0%
  • 60대: 50.9%
  • 70세 이상: 48.9%

연령층별로 보면 40대와 50대에서 긍정 전망이 매우 높고, 20대•70대 이상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우선 국정 과제 인식

응답자들이 꼽은 이 대통령의 최우선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경제 회복 및 민생 안정: 41.5%
  • 검·사 개혁: 20.4%
  • 국민 통합 및 갈등 해소: 12.8%
  • 정치개혁 및 여야 협치: 8.3%
  • 저출생·고령화 대책: 4.6%
  • 남북관계 및 외교·안보: 약 3.7%

이 중 경제 회복 및 민생 안정에 대한 요구가 가장 컸으며, 이어서 검찰·사법 개혁, 국민 통합, 정치 개혁 분야이 중요 과제로 지목되었습니다. 

4. 정당 지지도 현황

당 지지도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더불어민주당: 48.0% (전주 대비 +1.2%p 상승)
  • 국민의힘: 34.8% (전주 대비 –0.3%p 하락)
  • 개혁신당: 5.8%
  • 조국혁신당: 3.7%
  • 진보당: 1.4%

민주당과 국민의힘 간 격차는 현재 13.2%포인트로 확대된 상태입니다. 

5. 정치·사회적 맥락 분석

경제 불안 요인

최근 경기 침체, 저성장 우려, 물가 상승 등의 경제적 불안이 국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으로 경제 회복 및 민생 안정이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고 리얼미터는 분석했습니다. 

사법 개혁 및 사회 분열

‘검찰·사법 개혁’과 ‘국민 통합’이 상위 과제에 포함된 배경으로는 정치적 수사, 사법 신뢰 하락, 사회적 양극화 등 누적된 현안들이 지목되었습니다. 특히 사회 통합 리더십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것이 주된 원인입니다. 

정당 지지도 변화 배경

민주당은 서울·호남·충청·PK(부산·울산·경남)을 포함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고르게 상승세를 보인 반면, 국민의힘은 특히 대구·경북과 20대 등 일부 기반 지역에서 소폭 결집한 양상입니다. 

6. 평가 및 향후 과제

  • 초기 기대감은 '보통 이상': 윤석열 전 대통령보다는 높지만, 과거 높은 상징성을 지녔던 대통령에 비해 아직 격차 존재.
  • 정치적 리더십 시험대: 경제 안정, 사법 개혁, 사회 통합 등의 과제 중심으로 국민 기대가 고르게 분포.
  • 지지도 관리 중요: 민주당 기반의 지지층은 견고하지만, 지역 및 연령별 격차 해소가 중요한 과제로 남음.

7. 결론

이번 리얼미터 여론조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초기 국민의 ‘국정 수행 기대감’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긍정 전망(58.2%)은 윤 전 대통령보다 높지만, 과거 높은 기대치를 기록했던 대통령에 비해서는 온건한 수준입니다. 이는 ‘경제 회복’과 ‘사법 개혁’에 대한 국민의 요구는 강하지만, 실제 성과가 수반되어야 기대 수치가 본격적으로 상승할 수 있는 시점임을 시사합니다.

향후 과제는 ▲경제 안정 실현 ▲사법·검찰 개혁 추진 ▲세대·지역 갈등 해소를 통한 국민 통합 ▲정당 지지도 확대 전략 등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