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본 글은 소비자 관점의 구매 가이드입니다. 가격·옵션은 공식 가격표 기준으로 인용했습니다. 세제·보조금·프로모션에 따라 실제 구매가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EV5 가격 한눈에 보기
에어(AIR)
세제혜택 후: 4,855만 원
어스(EARTH)
세제혜택 후: 5,230만 원
GT-line
세제혜택 후: 5,340만 원
※ 실제 판매가격은 인도 시점의 세제·정책·사양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계약 전 견적서로 최종 확인하세요.
2) CATL 재고 배터리 논란, 왜 “비싸다”는 반응이 나왔나
커뮤니티에서는 EV5에 CATL LFP 배터리가 적용되었고, 일부가 ‘재고 물량’이라는 주장 때문에 “가격이 높다”는 불만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차량 원가는 단순히 배터리 단가로만 결정되지 않습니다. 실제 가격 상승 요인은 트림/옵션 구조, 인증·물류비, 환율, 브랜드 전략 등이 있습니다.
3) 트림별 핵심 사양 & 누구에게 맞을까
트림 | 핵심 포인트 | 추천 사용자 |
---|---|---|
에어 | 기본 안전/편의 + 옵션 선택으로 확장 | 가성비·입문용 |
어스 | 실외 V2L, 조명 패키지, 시트/앰비언트 강화 | 패밀리, 캠핑 |
GT-line | 전용 외관/내장 디자인, 19인치 휠 | 디자인 중시, 풀옵션 선호 |
4) 필수·선택 옵션 가이드
① 꼭 챙길 옵션
- 드라이브 와이즈 (134만 원): ADAS 핵심
- 컴포트 I (138만 원): 통풍/열선 시트, 파워테일게이트
- 모니터링 (138만 원): 서라운드뷰, 후측방 모니터
② 있으면 좋은 옵션
- 파노라마 선루프 (109~119만 원)
- 하만카돈 프리미엄 사운드 (64만 원)
- 빌트인캠 2 플러스 (45~59만 원)
③ 선택이 갈리는 옵션
- 19인치 휠&타이어 (30만 원): 디자인 vs. 승차감
- 스마트 커넥트 (74~134만 원): HUD, 지문인증 포함
5) 총액 계산 예시
예시 1: 에어(4,855만) + 드와(134) + 컴포트 I(138) + 모니터링(138) = 약 5,265만 원
예시 2: 어스(5,230만) + 드와(134) + 빌트인캠2+(45) = 약 5,409만 원
6) 구매 전 체크리스트
- 보조금: 지자체 잔여 예산 확인
- 보험: 전기차 특약, 자차 보장 확인
- 충전: 거주지 완속·급속망 접근성
- 겨울 전비: 히트펌프, 배터리 히팅 시스템 확인
7) 자주 묻는 질문(FAQ)
Q1. EV5 가격, 실제로 비싼가요?
필수 옵션을 더하면 5천만 원대 중반이 나오므로 체감상 비싸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Q2. CATL 재고 배터리라면 가격이 내려가야 하는 것 아닌가요?
차량 원가는 배터리 단가 외에도 인증·보증·환율·옵션 구조 등 복합 요인으로 형성됩니다.
Q3. 어떤 옵션이 필수인가요?
드라이브 와이즈, 컴포트 I, 모니터링 패키지를 우선 추천합니다.
※ 색상 추가금: 스노우 화이트 펄 8만, 아이스버그 매트 그린 30만.
반응형